증시 리포트 정리 - 2025년 1월 자산배분
안녕하세요~ 행하루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화투자증권에서 발표한 증시 리포트를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이번 증시 리포트의 주제는 2025년 1월 자산배분입니다.
✅ 12월 전략 Review
11월 21일부터 12월 16일까지 S&P500은 2.1% 상승하였고, 채권은 0.5% 상승, 금은 -0.6%를 기록했습니다.
주식의 강세 폭이 커 보이지만 대형 성장주의 강한 상승이 전체 지수를 떠받쳤습니다.
구글의 양자컴퓨터 개발, 브로드컴의 양호한 실적 등의 소식이 있었습니다.
M7의 주가가 13.5% 오르는 동안 S&P500은 2.2% 하락했습니다.
가치주 비중이 높은 다우 지수는 같은 기간 0.4% 빠졌습니다.
12월 5일부터 12월 18일까지 다우 지수는 10 거래일 연속 하락을 헀는데, 1974년 이후로 처음이었습니다.
예전에 한화투자증권에서는 대선과 기준금리 인하 사이클이 겹쳤던 11월과 12월 사례를 들며 금리 하락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습니다.
당시 4.42%까지 올랐던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12월 5일 4.15%까지 내렸으나 11월 비농업고용이 시장 전망을 뛰어넘으며 금리가 오르기 시작했습니다.
✅ 1월 자산배분: 주식 비중 축소 및 채권 비중 확대
한화투자증권에서는 11월부터 채권 비중 확대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OECD 경기선행진수가 명확하게 상승한다고 보기 어렵고 S&P500의 EPS 추정치 하향세가 지속되었기 때문입니다.
12월에 발표된 경기선행지수도 100.39로 여전히 100에 근접해 있습니다.
OECD 경기선행지수는 매월 이전 발표치를 수정해 공개하는데, 10월과 11월에는 가장 최근 한두 달 발표치는 상향했고 그 이전 발표치를 하향했습니다.
12월에는 상향조정 없이 직전 36개월을 하향조정했습니다.
완연한 경기 확장 국면이라고 판단하기 어려운 이유입니다.
11월 헤드라인 CPI도 예상치에 부합하기는 했으나 +2.7%를 기록하며 두 달 연속 상승률이 확대되었습니다.
1월에도 주식 대비 채권 선호 의견을 유지합니다.
12월 FOMC에서는 기준금리를 25bp 인하했으나 2025년 전망치를 50bps 상향했습니다.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예상보다 견조한 경기와 높은 물가상승률을 언급했습니다.
그 동안 상승폭이 컸던 주식이 상대적으로 더 조정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여전히 주식 대비 채권을 선호하는 이유입니다.
만약 미국 주식에서 골라야 한다면, 대형 가치주를 권합니다.
11월 S&P500이 5.7% 오르는 동안 S&P500 기업들 중에서 382개 종목의 주가가 상승했습니다.
M7은 9% 올랐고 S&P500의 수익률은 6%였습니다.
빅테크가 더 많이 오르긴 했지만 시장 전반적으로 강세를 보인 것입니다.
12월의 분위기는 달랐습니다.
S&P500은 0.7% 오르는데 M7의 수익률은 11.8%로 확대되었습니다.
M7 이외에 395개 종목의 주가가 하락을 했습니다.
대형 성장주로의 쏠림이 확대됐다는 것은 러셀 지수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1월에는 주요 지수 및 스타일별로 고르게 상승을 했지만 12월에는 대형 성장주만 올랐고 그 외 대형 가치 및 중소형주의 수익률은 부진했습니다.
나스닥의 MTD 수익률이 +5%에 달하는 반면 다우는 -2.7%를 기록한 점도 성장주로의 쏠림 현상을 보여줍니다.
대형 중 가치와 성장의 괴리는 2024년래 최고 수준까지 확대됐습니다.
대다수의 종목 중 빅테크만 버티는 흐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미국 경제가 양호해 증시가 급락할 가능성은 낮다고 생각하기 대문에 괴리가 해소되는 방향으로 흘러갈 것으로 전망합니다.
중소형과 대형은 2023년 이래로 격차가 지속적으로 커졌는데 트럼프 후보 당선 이후 소폭 줄었다가 재차 확대되었습니다.
시장에서는 1월 FOMC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향후 경기가 빠르게 반등할 가능성은 제한적이기 때문에 단기간 상대적으로 낙폭이 커진 대형 가치주를 선호할 수 있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도 증시 리포트 정리로 찾아오도록 하겠습니다!
'📈주식 > 주식 뉴스 및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시 리포트 정리] 1월 미국 주식시장 전략, 시험대에 오른 트럼프 정책(미래에셋증권 선진국 ETF 전략) (14) | 2025.01.02 |
---|---|
[증시 캘린더] 2025년의 시작! 2025년 1월 증시 이벤트를 알아볼까요? (5) | 2024.12.30 |
[증시 리포트 정리] 연준의 기준 금리 인하 이후, 우리는 어떻게 해야할까요?(하나투자증권 화수분전략) (5) | 2024.12.25 |
[증시 리포트 정리] 12월 FOMC, 예고된 매파적 금리 인하 - 신한투자증권 증시 리포트 (5) | 2024.12.23 |
[증시 리포트 정리] 미국 증시 가격 우려에 대한 반론 첫번째, 재귀성 이론(신한투자증권 증시 리포트) (3) | 2024.1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