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투자 시리즈 - 엔비디아(NVDA)
이번 글에서는 엔비디아를 2010년부터 2022년까지 12년간 장기투자했을 때 수익률이 어떤지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12년 동안 장기투자를 하면서 어느 정도의 하락을 견뎌야 했는지, 주가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작성하면서 엔비디아 장기투자가 얼마나 메리트 있는지 알아봅시다.
GPU 점유율 독보적 1등, 이제는 게임뿐만 아니라 데이터센터와 자율주행에서도 잘 나가는 엔비디아를 2010년부터 지금까지 투자하면 어떻게 되었을지 알아볼까요?
2010년~2022년 엔비디아 수익률
2010년에 엔비디아에 $10,000을 투자했다면 2022년에 얼마가 되었을까요?
아래 그래프로 확인해 봅시다.
2010년 $10,000 👉 2022년 $340,944
(약 34배 상승)
2010년에 $10,000을 엔비디아에 투자하고 가만히 있었다면 2022년에는 약 34배 상승한 $340,944가 됩니다.
ASML, 마소, 애플을 가볍게 뛰어넘는 수익이네요.
한화로는 약 1200만 원에서 3.4억 정도 된 것입니다.
12년 동안 약 34배 상승을 하려면 매년 어느 정도의 수익을 올렸던 걸까요?
2010년~2022년 엔비디아 연도별 수익률
년도 | 투자금 변화($10,000 시작) | 수익률 |
2010년 | $8,244 | -17.56% |
2011년 | $7,420 | -10.00% |
2012년 | $6,606 | -10.97% |
2013년 | $8,820 | 33.52% |
2014년 | $11,237 | 27.40% |
2015년 | $18,778 | 67.10% |
2016년 | $61,392 | 226.94% |
2017년 | $111,721 | 81.98% |
2018년 | $77,293 | -30.82% |
2019년 | $136,767 | 76.95% |
2020년 | $304,036 | 122.30% |
2021년 | $685,535 | 125.48% |
2022년 | $340.944 | -50.27% |
엔비디아 평균 1년 수익률 = 49%
엔비디아가 매년 올린 수익을 보면 타이밍 잰다고 팔다가 이 수익을 다 얻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016년에 무려 엔비디아의 주가는 226% 상승했는데, 이때 엔비디아를 들고 있지 않았다면 엔비디아의 장기투자 수익률은 절대 이렇게 높게 나오지 못할 것입니다.
엔비디아가 2010년~2012년 연속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할 때 싸게 매수한 사람들이라면 34배가 아닌 더 큰 수익률을 누리고 있을 테고요.
2021년까지 무려 원금 대비 68배 상승한 $685,535까지 올라갔으나, 2022년에 반토막이 나면서 34배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주가가 반토막이 나도 어마어마한 수익이라, 이익이 증가하는 기업에 꾸준히 장기투자하는 게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알 수 있게 해주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엔비디아가 12년간 가장 많이 빠졌을 때는 언제인지 알아볼까요?
2010년~2022년 엔비디아 MDD
MDD 하락 순위 |
기간 | 복구 기간 | MDD |
1 | 2021. 12. ~ 2022. 9.(10개월) | 현재 진행중 | -62.82% |
2 | 2018. 10. ~ 2018. 12.(3개월) | 2020. 4.(1년 4개월) | -52.45% |
3 | 2010. 1. ~ 2010. 7.(7개월) | 2011. 1.(6개월) | -50.80% |
4 | 2011. 2. ~ 2012. 10.(1년 9개월) | 2015. 9.(2년 11개월) | -49.92% |
5 | 2016. 1. ~ 2016. 1.(1개월) | 2016. 3.(2개월) | -11.13% |
6 | 2018. 2. ~ 2018. 4.(3개월) | 2018. 5.(1개월) | -8.45% |
7 | 2021. 9. ~ 2021. 9.(1개월) | 2021. 10.(1개월) | -7.46% |
8 | 2020. 10. ~ 2020. 10.(1개월) | 2021. 2.(4개월) | -7.36% |
9 | 2017. 2. ~ 2017. 2.(1개월) | 2017. 5.(3개월) | -6.94% |
10 | 2017. 11. ~ 2017. 12.(2개월) | 2018. 1.(1개월) | -6.37% |
엔비디아가 고점에서 가장 많이 빠졌을 때는 -62.82%가 되었던 2021년 12월부터 2022년 9월까지입니다.
이 이후로도 아직 고점 회복은 하지 못하고 횡보하는 중입니다.
2019년~2021년 어마어마한 상승을 했기 때문에 하락장에서 더 많은 타격을 입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2018년, 2010년~2012년까지도 고점 대비 반토막이 났었는데, 이런 큰 변동성을 이겨낼 수 있어야 장기투자가 빛을 발하는 것 같습니다.
엔비디아는 고점 회복 기간도 오래 걸려서 고점을 회복할 때까지 2년이 넘게 걸릴 때도 있었습니다.
엔비디아에 대한 앵간한 믿음이 없으면 이미 손절하고 다른 주식을 사고 있었지 않았을까요..
이런 고통을 견뎌야만 34배의 수익률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닫습니다.
정리
🔘 2010년~2022년 엔비디아 수익률 : 34배 상승($10,000 👉 $340,944)
🔘 2010년~2022년 엔비디아 1년 평균 수익률 : 약 49%
🔘 2010년~2022년 엔비디아 최고 MDD : -62.82%
🔘 2010년~2022년 엔비디아 저점에서 전고점 회복 기간 : 주로 1년 내에 회복, 최대 2년 11개월
고성장주의 매력이 가파른 주가 상승이라면, 단점은 가파른 주가 하락이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반도체 섹터의 대표적인 고성장주인 엔비디아가 그것을 12년간 제대로 보여준 듯합니다.
지금 엔비디아가 많이 하락해있는 상태일 텐데, 장기투자의 관점에서 지금 하락은 좋은 기회가 될 거라 생각하여 저는 꾸준히 분할매수하고자 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도 장기투자 시리즈로 찾아오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