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주식 뉴스 및 정보

[증시 리포트 정리] 미국 주식시장, 변칙적인 무역정책이 키우는 증시 불확실성(대신증권 증시 리포트)

반응형

증시 리포트 정리 - 변칙적인 무역정책이 키우는 증시 불확실성

 

안녕하세요~ 행하루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신증권에서 발표한 증시 리포트를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이번 증시 리포트의 주제는 '미국 대표 종목 주간 동향 및 전망'입니다.

 

✅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시장의 강자

➡️ 투자 전망

✔️ Non-AI 클라우드 성장률이 둔화되면서 상반기에 기대되었던 전체 클라우드 성장률 반등세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

✔️ 코파일럿 수요 증가는 긍정적이나 클라우드 성장률 둔화로 실적 모멘텀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됨

 

➡️ 핵심 포인트 및 리스크

✔️ 향후 IaaS, PaaS, SaaS 전반을 아우르는 클라우드 시장 강자로 자리매김할 전망

✔️ 클라우드 부문 경쟁력 제고 & 광고 시장 진출, 클라우드 서비스 전반에 챗GPT 기능을 적용하여 검색 시장으로의 진출을 확대할 전망

✔️ 코파일럿 침투율이 점진적으로 높아지면서 매출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

❌ 엔비디아의 블랙웰 인도 지연 시 데이터센터 건설 차질 가능성이 있음

 

 

 

✅ 알파벳, 글로벌 1위 광고 기업

 

➡️ 투자 전망

✔️ 4분기 실적은 컨센서스에 부합했으나 클라우드 부문이 기대를 하회

✔️ 향후 공고, 클라우드 부문에서 기대할 수 있는 실적 모멘텀은 둔화될 것으로 예상

✔️ 다만 12개월 선행 PER은 19배로 밸류 부담은 적음

 

➡️ 핵심 포인트 및 리스크

✔️ 자체 AI 모델인 Gemini 출시, 클라우드 반등세 지속

✔️ 안정적인 자사주 매입, 영업활동 현금흐름 대비 주주환원율은 2015년 6.8%에서 현재 55.5%까지 상승

❌ 챗GPT 출시 이후 검색 광고 시장 경쟁 본격화, 검색 쿼리를 차지하기 위한 경쟁이 격화될 것으로 예상

 

 

✅ 엔비디아, AI 컴퓨팅 선두 기업

 

 ➡️ 투자 전망

✔️ 딥시크가 오픈AI-o1과 유사한 성능을 보이고 API 가격이 오픈 AI 3%~5% 수준에 불과한 R1 모델 공개

✔️ AI 모델 훈련에 기존 전망 대비 적은 컴퓨팅이 필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되면서 주가 변동성 확대

✔️ 싱가포르 정부가 슈퍼 마이크로 컴퓨터 서버를 통한 엔비디아 AI칩 불법 우회 수출 조사하는 점도 부정적인 요인

✔️ 단기적으로 변동성 확대가 예상되나 2025년 실적 모멘텀에 기반해 기술적 반등이 나타날 가능성 존재

 

➡️ 핵심 포인트 및 리스크

✔️ TSMC 2025년 월간 CoWoS 캐파 전망치가 2024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할 것이라 발표

✔️ 엔비디아는 4nm 공정 기반의 GB200 NVL72, NVL36 제품 수요 호조로 TSMC 웨이퍼 주문량을 25% 늘린 것으로 추정

❌ 미국 정부의 중국 수출용 AI GPU 규제

 

 

✅ 브로드컴, 커스텀 반도체 및 인프라 소프트웨어 기업

 

➡️ 투자 전망

✔️ 클라우드 기업들의 커스텀 AI 칩 수요 증가로 인한 매출 증대 전망

✔️ FY 2027 서비스 가능 시장 규모를 600~900억 달러 제시, FY 2024 시장 규모 150~200억 달러 대비 크게 성장

✔️ VM웨어의 매출 증가, 운영 비용 감소 추세로 이익률 개선 지속

 

➡️ 핵심 포인트 및 리스크

✔️ VM웨어의 영구 라이선스에서 구독형 모델로의 비즈니스 모델 전환 순조롭게 진행

✔️ 클라우드 기업들의 AI 데이터센터 투자로 커스텀 AI 매출 장기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

❌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 규제 강화로 인한 매출 감소 가능성

 

 

✅ 테슬라, 글로벌 1위 전기차 기업

 

➡️ 투자 전망

✔️ 4분기 실적은 전기차 할인 정책으로 인해 기대를 하회, 1분기까지는 실적 부진할 전망

✔️ 다만, 이번 실적 발표를 통해 FSD & 옵티머스 방향 및 타임라인 구체화

✔️ 트럼프 대통령의 규제 완화가 FSD 도입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

 

➡️ 핵심 포인트 및 리스크

✔️ FSD를 통한 자율주행 기술 선도, FSD v.12 부터는 End-to-End Nerual Net 기반으로 사람의 코딩이 아닌 모델을 통해 자율주행 구현

✔️ AI 가속기 구매 확대를 통한 AI 캐파 증가, FSD 가격 인하를 통한 훈련 데이터 확보 가속화

❌ 중국 기업들과의 전기차 가격 경쟁 심화, 샤오미 및 화웨이 등 신규 로컬 기업들도 등장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도 증시 리포트 정리로 찾아오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