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주식 뉴스 및 정보

[증시 리포트 정리] 2025년 4월 미국 주식시장 전망과 전략(하나투자증권 증시 리포트 정리)

반응형

증시 리포트 정리 - 4월 미국 주식시장 전망과 전략

 

안녕하세요~ 행하루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하나투자증권에서 발표한 증시 리포트를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이번 증시 리포트의 주제는 '4월 미국 주식시장 전망과 전략'입니다.

 

✅ S&P500 지수가 반등할 수 있는 이유

 

S&P500 지수가 최근 고점 대비 저점까지 -10.1%까지 하락을 했습니다.

2008년 이후 S&P500 지수가 고점 대비 -10% 이상 급락한 경우는 13회가 있었지만, 1개월/3개월/6개월/12개월 후 주가 수익률을 보면 모두 플러스를 기록했습니다.

S&P500 지수 급락 3개월 후 +10%, 6개월 후에는 +14% 정도 상승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3월 FOMC 회의 이후 파월 의장은 관세의 불확실성이 이미 경제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은 일시적이라는 점을 언급하여 비둘기파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

2025년 4월부터 QT 속도를 조절한다고 하였으며, 국채 매각 규모를 매월 250억 달러에서 50억 달러로 축소할 것으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2025년 첫번째 기준금리 인하 예상 시기는 6~7월이며, 2분기 말로 갈수록 기준금리 인하 기대는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연준 기준금리 인하 기조 유지 시, 제조업 체감경기 반등 지속이 가능합니다.

금리 인하 이후 1년 정도 미국 ISM 제조업 PMI 상승 기조가 유지됩니다.

미국 시중금리가 하락하면 고금리로 위축되었던 제조업 투자 심리도 회복 가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1기 시절에 설비투자에 대한 보너스 감가상각 조항 복원을 제시했습니다.

설비투자에 대한 보너스 감가상각 조항은 설비투자 첫 해 더 많은 비용을 공제받을 수 있어 투자 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에 가려지긴 했지만, 법인세 감세 공약도 있습니다.

현행 21%인 법인세를 15%로 인하한다는 것입니다.

법인세 인하로 인해 미국 기업 EPS는 상승하게 됩니다.

기업의 세금 부담이 낮아지는 시기에 제조업 체감경기도 상승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미국 ISM 제조업 PMI가 전월 대비 상승하고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전월 대비 하락을 하는 상황에서는 S&P500 지수의 월평균 수익률은 1.8%로, 상승 확률이 83%나 됩니다.

해당 매크로 환경에서 S&P500지수는 상대적으로 가장 높고 안정적인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이런 상황에서 소프트웨어, 반도체, 하드웨어, 유통, 헬스케어 장비, 운송 섹터가 상대적으로 좋은 성적을 보여줬습니다.

 

✅ 어떤 섹터가 주도 업종이 될까?

 

S&P500 지수 급락 이전 주도 업종은 이후 반등 기간 동안 S&P500 지수 정도의 주가 수익률을 기록하곤 했습니다.

반면 급락 이후 1달간 반등 시 주가 수익률이 가장 높았던 1등과 2등 업종의 경우 S&P500 지수 대비 장기적으로 아웃퍼폼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3월 13일 S&P500지수 저점 형성 후 주가 수익률은 1.1%입니다.

같은 기간 동안 주가 수익률이 가장 높았던 업종은 자동차, 에너지, 은행 순입니다.

테크 중에서는 기술 하드웨어가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에너지 섹터와 은행 섹터의 공통점은 저 밸류와 고배당입니다.

낮은 PBR을 보이며 높은 배당 수익률을 보인다는 것입니다.

이는 위험자산 회피 심리를 보여주며 투자자들이 스테그플레이션 우려를 가지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2025년 2월부터 미국은 기대 인플레이션은 높아졌고 경기모멘텀은 약화되었습니다.

2022년에도 이와 비슷한 경험이 있었습니다.

2022년에는 스테그플레이션 우려로 인해 약세장이 시작되었지만, 2023년 들어 S&P500 지수가 강세장으로 전환될 수 있었던 이유는 M7이 주도주로 등장했기 때문입니다.

M7 기업들이 1분기부터 이익 플러스 반전 이후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하며 주도주 역할을 담당했습니다.

이와 같이 2025년에도 이익 턴어라운드와 사이클 개선이 중요합니다.

S&P500지수 저점 형성일인 3월 13일 대비 주가 수익률이 높은 기업들 중에서는 보잉과 유나이티드헬스 같은 기업이 이에 속합니다.

 

 

 

✅ 정리

👉 S&P500이 10% 이상 빠졌을 때 1개월~12개월 이후 대부분 플러스를 기록함

👉 조정에서 반등할 때 빠르게 반등하는 업종이 다음 주도주가 될 수 있음

👉 빠르게 반등하는 업종의 특징은 기업의 이익이 턴어라운드 하거나 이익사이클이 개선되는 기업

👉 현재 대표적으로 보잉과 유나이티드헬스가 있음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도 증시 리포트 정리로 찾아오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