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주식 뉴스 및 정보

[증시 리포트 정리] 트럼프 관세로 인한 위기, 어떻게 하면 이 위기를 탈출할 수 있을까요?(하나투자증권 증시 리포트 정리)

반응형

증시 리포트 정리 - 트럼프 관세 위기 탈출

 

안녕하세요~ 행하루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하나투자증권에서 발표한 증시 리포트를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이번 증시 리포트의 주제는 '트럼프 관세 위기 탈출'입니다.

 

✅ 현재 주식시장 상황은?

 

S&P500 지수가 4월 3일 ~ 4일 2일간 -10.5%나 급락했습니다.

1987년 10월 블랙먼데이, 2020년 3월 코로나19 펜데믹, 2008년 11월 글로벌 금융위기 다음으로 큽니다.

참고로 나스닥은 2000년 4월 테크 버블 붕괴 초기만큼 급락했습니다.

2025년 4월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는 각국의 보복관세로까지 확산되면서 글로벌 공급망 훼손과 교역량 위축 우려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현재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은 취임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2017년 트럼프 집권 1기 1년 차는 지금보다 더 낮은 지지율을 기록했었고, 2017년 12월에 지지율은 본격적으로 반등하기 시작했습니다.

2017년 12월 당시 감세 및 일자리 법안(세제 개편)에 서명하면서 지지율은 반등했습니다.

✅ 앞으로 상황은 어떻게 흘러갈까?

 

미국 국가별 수입액과 발표된 관세를 기준으로 단순하게 계산하면 관세 수입액은 연간 6,000억 달러 정도입니다.

트럼프 대통령 2기 감세 목표액은 향후 10년간 4.5조 달러입니다.

재원 마련을 위해 먼저 관세를 발표했다면, 시기를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감세 정책이 다음 수순일 수 있습니다.

 

연준은 앞서 언급한 주식시장의 위기 때마다 기준금리 인하 정책을 단행했고, 당시 지수 반등의 트리거 역할을 했습니다.

다만 2000년 테크 버블 붕괴 시기에는 기준금리를 인상했었고 2001년 들어서 인하를 시작했습니다.

 

지금까지 파월 의장은 기준금리 인하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아직은 미국 경제지표가 크게 악화되었다고 판단할만한 근거가 없을 수 있습니다.

시티 미국 경기서프라이즈지수는 2008년과 2020년 기준금리 인하 당시 -100p 수준까지 하락했지만, 현재는 -3p 수준에 불과합니다.

1987년 이후 기준금리 인하 시점의 ISM 제조업 지수 평균치는 47.3p, 현재는 49p입니다.

경제지표들이 지금보다 다소 더 악화될 경우 연준이 기준금리 인하 시기를 앞당길 가능성도 있습니다.

2025년 연준 기준금리 인하 횟수는 최근 4회로 증가했고, 첫 기준금리 인하 시기는 6월로 꼽고 있습니다.

 

지수 반등을 위해서는 트럼프와 연준의 정책 전환 확인이 필요합니다.

현재 상황에서는 두 가지 정도의 전략적 시사점을 기억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

 

1. 현재 글로벌 유동성은 증가하고 있고, S&P500 기업 이익도 사상 최고치를 경신 중이다. 그러나 최근 3개월 동안 S&P500 지수 PER은 -18%나 급락했고 이는 2000년 이후 위기 국면들의 최대 하락률과 비슷한 수준이다. 유동성 축소와 이익 감소 유려를 밸류에이션은 선반영 했다.

 

2.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2020년 코로나19 펜데믹, 2022년 미국 스태그플레이션 등과 같은 위기 탈출 국면에서 매출 성장을 주도했던 업종의 주가 수익률이 가장 높았다. 2025년 매출 증가율 전망치가 높은 반도체, 소프트웨어, 헬스케어/장비 업종은 관심을 가지고 볼 필요가 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도 증시 리포트 정리로 찾아오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