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5주 시장 증시
주요 미국 주식 52주 고점 대비 하락률, S&P500, 나스닥, 다우지수 및 금리 변화를 정리한 글입니다. 8월 5주 차도 어느덧 마무리되고 주말이 다가왔습니다. 이번 미국 주식시장의 다양한 지수 변화 및 주요 기업들의 52주 고점 대비 하락률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과연 이번 주에는 줍줍 할만한 기업들이 있을지! 같이 확인해볼까요?
미국 주식시장 지수 및 금리 그래프 변화
미국 주식시장 지수 변화
이번주는 큰 이벤트 없이 지나갔습니다. 지난주에는 잭슨홀 미팅으로 인해 시장이 시끌벅적했다면, 이번 주는 조용했기에 S&P500과 나스닥은 큰 변동 없이 우상향 하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다우는 지난주 장 마감보다 낮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S&P500 지수 : 4,535.43(지난주 장 마감 후 지수 : 4,509)
-나스닥 100 지수 : 15,652.86(지난주 장 마감 후 지수 : 15,432)
-다우지수 : 35,369.09(지난주 장 마감 후 지수 : 35,455)
S&P지수는 올해 51번째 최고점 갱신을 했다고 합니다. 사실 이번 년도에도 큰 조정 없이 꾸준히 우상향 했기에 계속해서 최고점을 갱신하고 있습니다. 다우지수는 연초에 많이 상승하다가 지금은 조금 천천히 오르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나스닥은 다우지수와 반대로 연초에 조금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더니 현재는 다시 상승선을 타고 있습니다. 금리의 변화에 따라 확실히 기술주와 가치주의 추세가 달라지는 것 같습니다.
미국 10년 금리 변화
저는 금리를 볼 때 미국 10년채 국채 금리를 주로 확인합니다. 9월 4일 현재 10년 국채 금리는 '1.326'으로 지난주 대비 0.016 정도 상승한 상태입니다. 연초에 1.7까지 금리가 튀어올라 주식 시장이 조정 분위기를 보였지만, 현재는 금리가 1.3 정도로 저금리 상태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지난주 잭슨홀 미팅에서 파월이 금리 인상은 아직 어렵다는 말을 꺼내고 나서 금리가 확실히 안정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1년 남은 기간동안 금리가 저금리로 유지된다면 기술주들이 계속 강세를 유지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경기 서프라이즈 지수 및 VIX 지수 변화
경기 서프라이즈 지수 변화
경기 서프라이즈 지수는 시티그룹이 만든 지표로, 최근 경제지표의 흐름을 알려주는 지표로 쓰입니다. 실제로 매달 발표된 경제지표들이 시장 전망치와 얼마나 부합했는지 정도를 지수로 나타낸 것입니다. 이번 주 경기 서프라이즈 지수는 -50 정도로, 지난주 -40에서 더 떨어진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번주에 실업률과 같은 중요한 지표들이 발표되었는데, 경제지표들이 사람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나 봅니다. 사람들이 원하는 것은 경제가 다시 살아난 모습을 보는 것일 텐데, 경제가 침체되고 있지는 않지만 회복하는 모습을 보여주지는 못한 것 같습니다.
VIX 지수 변화
VIX는 변동성 지수, 공포 지수라고 불리며, 시장 지수와 반대로 움직이는 지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VIX 지수는 S&P500의 옵션 가격에 기초를 두고 있습니다. VIX가 올라단가는 말은 S&P500 옵션 시장의 투자자들이 시장의 불확실성 및 변동성 상승을 예상한다는 말입니다. VIX 값이 30을 넘으면 변동성이 높아졌다고 하며, 20 미만일 경우 안정적인 시장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번 주는 VIX 지수가 20 이하에서 움직였습니다. 확실히 현재 주식 시장은 안정적으로 우상향을 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9월에 조정이 온다고 하는 뉴스가 많던데, 과연 이번 달에 조정이 올지 이 VIX 지수를 보고 판단해보면 좋을 듯합니다.
주요 기업 52주 고점 대비 하락률
위 표를 확인하면 시장 지수들은 확실히 고점에 딱 붙어서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업종이나 섹터가 지난주에 비해 더 좋은 성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빅 테크 기업들도 아마존을 제외하면 다 고점에 붙어있으며, 아마존도 지난주에는 -11%였으나 -7% 정도로 주가가 회복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반도체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TSMC입니다. 지난주 -16%의 주가를 보여줬으나 현재 -12%로 회복이 많이 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TSMC 반도체 가격을 20% 올린다는 뉴스가 나온 이후 주가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커뮤니케이션에서는 넷플릭스가 끊임없이 횡보하다가 이번 주에 최고가를 경신하였으며, 헬스케어에서 애브비는 지난주 대비 -7%을 보여줬습니다. 약품 포장지에 경고문구 넣으라는 조치가 내려져서 장전에 주가가 급격히 하락했습니다만, 장이 시작되고 나서 어느 정도 주가가 회복했습니다. 리츠주들은 다 좋은 성적을 보여주고 있으며, 오메가 헬스케어도 조금씩 주가를 회복하고 있습니다. 산업재와 필수소비재, 임의소비재의 경우 지난주와 별 차이가 없는 주가를 보이고 있습니다.
현재 52주 고점 대비 -10% 정도 하락한 기업들이 어느 정도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위에 있는 기업들은 대부분 우량주이기 때문에 이렇게 주가가 하락하거나 횡보할 때 줍줍 해두는 게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저도 열심히 줍줍 하고 있습니다ㅎㅎ)
정리
8월 5주는 별 이유 없이 조용히 지나갔습니다. 이제 9월이 찾아왔고 2021년도 얼마 남지 않았네요. 얼마 남지 않은 2021년에도 미국 시장이 꾸준히 우상향 하면 좋겠습니다:) 그래도 조정은 언제든 올 수 있기에 현금 비중은 꾸준히 가져가야 할 것 같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며, 다음 주에도 시장 정리로 찾아오겠습니다.
*투자 추천이 아니며,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 1주일 시장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장 정리] 9월 4주 주요 기업 52주 고점 대비 하락률, 지수 및 금리 변화 정리 (12) | 2021.09.25 |
---|---|
[시장 정리] 9월 3주 주요 기업 52주 고점 대비 하락률, 지수 및 금리 변화 정리 (12) | 2021.09.19 |
[시장 정리] 9월 2주 주요 기업 5주 고점 대비 하락률, 지수 및 금리 변화 정리 (4) | 2021.09.11 |
[시장 정리] 주요 기업 52주 고점 대비 하락률, 지수 및 금리 변화 정리 (6) | 2021.08.28 |
[시장 결산] 8월 3주차 주요 기업 52주 고점 대비 하락률, 지수 및 금리 변화 결산 (0) | 2021.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