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3주 시장 증시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9월 3주 차 미국 시장 정리를 하고자 합니다. 주요 미국 주식 52주 고점 대비 하락률, S&P500, 나스닥, 다우지수 및 금리 변화를 정리한 글입니다. 이번 미국 시장은 3대 지수가 함께 하락하여 조정인지 아닌지 애매한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이번 주 시장 지수의 변화를 살펴보고 줍줍 할만한 기업들이 있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 주식시장 지수 및 금리 그래프 변화
미국 주식시장 지수 변화
이번 주는 3대 지수가 다 같이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이번 주 시장 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S&P500 지수 : 4,432.99(지난주 장 마감 후 지수 : 4,458.58)
-나스닥 100 지수 : 15,333.47(지난주 장 마감 후 지수 : 15,440.75)
-다우지수 : 34,584.88(지난주 장 마감 후 지수 34,607.72)
세 지수 다 지난주보다 더 하락한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지난주 금요일에 하락했던 지수가 이번 주에도 천천히 하락했습니다. 9월 FOMC 관련 이슈, 중국 헝다그룹 파산설 등 다양한 이야기가 나오면서 증시가 혼란했던 한 주였습니다. 2020년 초부터 열심히 달려온 미국 주식시장 지수들이 잠시 쉬어가는 모습을 보여주니 정말 9월에 조정이 오는 것인가 생각이 드네요.
미국 10년 금리 변화
저는 금리를 볼 때 미국 10년 채 국채 금리를 주로 확인합니다. 9월 19일 현재 10년 국채 금리는 '1.363'으로 지난주 대비 0.020 정도 상승한 상태입니다. 화요일까지는 1.2대에서 움직이던 금리가 수~금 3일 동안 1.35를 넘어서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다음 주 금리가 더 오를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금리가 1.5까지 다시 올라온다면 금리 상승 핑계로 조정이 정말 시작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경기 서프라이즈 지수 및 VIX 지수 변화
경기 서프라이즈 지수 변화
경기 서프라이즈 지수는 시티그룹이 만든 지표로, 최근 경제지표의 흐름을 알려주는 지표로 쓰입니다. 실제로 매달 발표되는 경제지표들이 시장 전망치와 얼마나 부합했는지 정도를 지수로 나타낸 것입니다. 이번 주 경기 서프라이즈 지수는 -50 정도로 지난주 -60에서 +10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제 회복이 아직 사람들의 기대치에 부합하지는 못하지만 지난주보다는 더 나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연말까지 경기 서프라이즈 지수가 0에 안착할 수 있을지 지켜봐야겠습니다.
VIX 지수 변화
VIX는 변동성 지수, 공포 지수라고 불리며, 시장 지수와 반대로 움직이는 지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VIX 지수는 S&P500의 옵션 가격에 기초를 두고 있습니다. VIX가 올라간다는 말은 S&P500 옵션 시장의 투자자들이 시장의 불확실성 및 변동성 상승을 예상한다는 말입니다. VIX 값이 30을 넘으면 변동성이 높아졌다고 하며, 20 미만일 경우 안정적인 시장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번 주는 VIX 지수가 20.81로 시장이 마무리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0 VIX지수도 금리와 마찬가지로 수요일부터 점점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CNN에서 만든 Fear & Greed Index(공포와 탐욕 지수)는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34 정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음 주에 주가가 매력적인 구간에 오는 종목이 있더라도 성급하게 들어가지 않고 천천히 투자를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주요 기업 52주 고점 대비 하락률
- 시장(인덱스) ETF - 고점 대비 약 3% 하락
- 빅 테크 : 애플은 아이폰 13 발표 이후 차익실현 매물로 인한 하락, 그 외는 지난주와 비슷
- 반도체 : 어플라이드머터리얼즈는 지난주 대비 상승 마감, 그 외에는 소폭 하락
- 결제 : 비자, 마스터 등 코로나 재확산으로 인한 매출 우려로 인한 하락
- 헬스케어 : 지난주 이슈(미 정부 약값 인하 정책 로드맵 마련)로 인한 하락
- 임의소비재 : 중국발 실적 우려로 인한 하락(스벅, 나이키)
이번 주는 시장 전체적으로 약세를 보였습니다. 전체적으로 하락을 했지만 아직까지 싸게 줍줍 할만한 종목은 그렇게 많이 않은 것 같습니다. 저는 이번에 조정이 온다면 배당주 비중을 좀 키우려고 합니다. 헬스케어와 리츠 쪽을 째려보고 있는데, 아직 매력적인 구간에 들어온 종목이 별로 없어서 천천히 투자하려고 합니다. 빅 테크의 경우 마이크로소프트는 지난주보다 더 좋은 성적을 보여줬네요. 반독점 규제도 없고, 이번에 11% 배당 성장을 하겠다는 소식을 발표하면서 사람들이 더 투자를 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애플의 경우 고점 대비 -7% 정도 빠져있는데 -10% 정도 빠져주면 매수를 천천히 해봐야겠습니다:)
정리
9월에 조정이 온다는 말이 많았는데 그 뉴스들이 정말 조정을 만드는 것 같은 느낌이 드는 한주였습니다. 2021년은 1월을 빼고 거의 조정이 없다시피 열심히 달려왔습니다. 건전한 조정이 있어야 꾸준히 우상향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번에 조정이 온다면 위기가 아닌 추매 찬스로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언제나 조정은 올 수 있기에 현금 비중을 가져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번 더 깨닫게 되네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며, 다음 주에도 시장 정리로 찾아오겠습니다.
* 투자 추천이 아니며,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 1주일 시장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장 정리] 9월 5주 주요 기업 52주 고점 대비 하락률, 지수 및 금리 변화 정리 (35) | 2021.10.02 |
---|---|
[시장 정리] 9월 4주 주요 기업 52주 고점 대비 하락률, 지수 및 금리 변화 정리 (12) | 2021.09.25 |
[시장 정리] 9월 2주 주요 기업 5주 고점 대비 하락률, 지수 및 금리 변화 정리 (4) | 2021.09.11 |
[시장 정리] 8월 5주 주요 기업 52주 대비 하락률, 지수 및 금리 변화 정리 (10) | 2021.09.04 |
[시장 정리] 주요 기업 52주 고점 대비 하락률, 지수 및 금리 변화 정리 (6) | 2021.08.28 |